안녕하세요.
오늘은 유행성 출혈열 의 원인과 증상에 대해서 알려드리려 합니다.
유행성 출혈열 [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, HFRS]
유행성 출혈열 이란??
◎ 급성 발열질환으로 쇼크, 혈소판감소증, 출혈, 신부전 증상이 특징입니다.
◎ 유럽, 아시아에 넓게 분포하는 전염병으로 한타바이러스(Hantavirus) 에 속하는 다양한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합니다.
◎ 3군 법정전염병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. 국내에서는 연 300명 ~ 400명 가량의 환자가 발생하고 있습니다.
◎ 주로 10 ~ 12월이나 5 ~ 7월에 많이 유행하는 편입니다.
유행성 출혈열 의 원인?
◎ 호흡기를 통해 전파되는 것이 특징인 이 바이러스는 특정 설치류에 감염을 일으켜 감염된 설치류의 타액, 오줌, 분변등으로 바이러스가 같이 배출되어 감염을 일으킵니다
◎ 설치류가 주 감염원이기 때문에 쥐가 많이 잇는 야외에 눕거나 작업할 경우 감염 위험성이 높아집니다.
유행성 출혈열 의 증상은?
◎ 부종으로 인한 복통, 폐 부종 등이 발생하고, 모세혈관의 투과성이 높아져 출혈 경향이 강해집니다.
◎ 일반적인 특징은 출혈, 신부전, 요통, 복통, 두통, 발열 등입니다.
◎ 유행성 출혈열에 걸리게 되는 경우 보통 경과를 발열기 - 저혈압기 - 핍뇨기 - 이뇨기 - 회복기 로 나누어지게 됩니다.
◎ 보통 발열기와 이뇨기는 모든 환자들이 경험하게 됩니다. 발열기는 2주에서 3주의 잠복기를 거친 후 갑자기 발열, 오한, 심한 두통, 권태감 등 증상이 발생하고, 요통, 복통, 구토 등 증상도 발생하게 됩니다.
◎ 이후 저혈압기와 핍뇨기를 거쳐 이뇨기에 이릅니다. 이뇨기는 보통 발병 후 약 11일 후에 시작되어 신 기능 회복되는 시기입니다. 짧게는 수일 길게는 수주에 걸쳐 소변량이 3 ~ 6리터 가량 증가하여 탈수증세와 전해질 장애가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합니다.
유행성 출혈열 의 치료는 어떻게?
◎ 보통 자연적으로 병이 호전됩니다. 하지만, 경과 중에 신부전, 폐부종 같은 증상들은 치명적이기 때문에 보존적 치료가 중요합니다.
유행성 출혈열을 예방하려면?
◎ 가장 중요한 것은 주요 감염원인 설치류, 설치류 서식지에 노출이 되지 않는 것입니다.
◎ 그리고 예방백신이 있기 때문에 유행성 출혈열 감염 위험에 노출된 직업군들은 접종 대상입니다.
◎ 유행성 출혈열 다발 지역에서 일하는 군인, 농부와 바이러스가 오염된 환경에 노출되는 건설업체 인부, 골프장 인부 등이 있습니다.
◎ 감염 후에는 수십년 후까지 유지되는 항체가 생기기 때문에 재감염의 위험성은 많이 낮습니다.
이상으로 유행성 출혈열의 원인과 증상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
다음에도 좋은 정보로 찾아오도록 하겠습니다.
'건강, 의약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칸디다성 구내염의 원인 및 증상은? (0) | 2020.07.09 |
---|---|
각종 질환에 대해 알아보자 - 장염 원인, 증상 등 (0) | 2020.07.08 |
각종 질환에 대해 알아보자 - 요충증 원인, 증상 등 (0) | 2020.07.08 |
각종 질환에 대해 알아보자 - 소아마비 증상 원인 등 (0) | 2020.07.07 |
각종 질환에 대해 알아보자 - 성홍열 원인 증상 등 (0) | 2020.07.07 |
댓글